(기상요소와 화학사고 발생과 상관관계)
2010_사고사례집(11[1].03.04)
아산화질소 제조 반응기 폭발사고 사례
광학매체 원료 제조공정 반응기 누출사고 사례
광개시제 제조공정 폭발 화재사고 사례
과산화수소 정제공정 폭발사고 사례
2014년 중대사고 사례집
[2021-중대산업사고예방실-322]_7호 화학사고 사례연구_충북권
[2021-중대산업사고예방실-321]_6호 화학사고 사례연구_충남권
[2021-중대산업사고예방실-316]_5호 화학사고 사례연구_전북권
[2021-중대산업사고예방실-315]_4호 화학사고 사례연구_전남권
[2021-중대산업사고예방실-314]_3호 화학사고 사례연구_경북권
[2021-중대산업사고예방실-313]_2호 화학사고 사례연구_경남권
[2021-중대산업사고예방실-312]_1호 화학사고 사례연구_수도권
[2020-중대산업사고예방실-338]_2020년 화학사고 사례연구(화장품 원료 반응 중 반응폭주로 인한 폭발사고)_충북권
[2020-중대산업사고예방실-336]_2020년 화학사고 사례연구(인산제조공정 내 황린누출사고)_전북권
[2020-중대산업사고예방실-337]_2020년 화학사고 사례연구(스티렌모노머(SM) 혼합물 누출사고)_충남권
[2020-중대산업사고예방실-336]_2020년 화학사고 사례연구(인산제조공정 내 황린누출사고)_전북권
[2020-중대산업사고예방실-334]_2020년 화학사고 사례연구(출하 중 과산솨수소 누출 사고)_경북권
[2020-중대산업사고예방실-333]_2020년 화학사고 사례연구(정비보수 중 저장탱크 폭발 사고)_경남권
[2020-중대산업사고예방실-332]_2020년 화학사고 사례연구(감광제 생산공정 반응기 화재사고)_수도권
군산시 화학사고 발생 현황
수원시 화학사고 발생 현황
출처
사업장명
사업장주소
사업장면적
사고일자
사고시간
사고발생장소
사고내용
사고원인
사고물질
사고종류
사업장업종명
사망자
부상자
환경피해
CAS No.
사고피해관련물성 1, 2
피해야 할 조건
피해야 할 물질
분해 시 생성되는 유해물질
사고물질의 양
피해액
온도
기압
습도
강수량
풍향
풍속
Model 1. 화학사고 예측 모델
Model 2. 화학사고 위험성 평가 모델
RSR AutoEncoder
AutoEncoder의 Latent (Bottleneck) 부분에 RSR (Robust Subspace Recovery) layer를 반영
RSR layer는 임베딩 벡터를 저차원 벡터로 매핑하여 특이값에 대해 강조를 부여하는 역할
Input과 동일한 형상의 Output을 산출하여 값 차이를 이용하여 화학사고를 판정
정상 데이터(사고 X)로만 학습하여 비정상 데이터(사고 O)가 입력되었을 때, Input과 Output의 값 차이가 크다는 전제